확대 l 축소

국토교통부, 우크라이나 재건 협력 한국이 주도한다

우크라이나 재건협력 기업 간담회를 통한 지원방안 마련

국토교통부는 7월 14일에 폴란드를 국빈급 방문 중인윤석열 대통령이 주재한 '우크라이나 재건협력 기업 간담회'를 통해 ‘우크라이나 재건협력 정책방향’을 발표하고, 우리 기업의 재건 참여전략 및 정부의 지원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또한, 기업 간담회 후에는 우리 기업들과 우크라이나 측, 그리고 터키 ·폴란드 기업들 간 MOU 체결식에 참석하여 우리 기업의 우크라이나 재건 참여를 위한 국제적 네트워크 구축을 적극 지원했다

●우크라이나 재건협력 기업 간담회

원희룡 장관은 ‘우크라이나 재건협력 정책방향’ 발표를 통해 우크라이나 재건은 단순한 과거의 복원이 아니라 새로운 미래로 나아가는 국가 재설계가 필요하고, 이를 위해 한국 성장의 모든 결과물인 ‘K-infra platform’을 우크라이나에 전수할 것임을 밝히면서, 하드웨어인 인프라 조성에 그치지 않고, 노하우 공유 및 우수한 인재 양성 등 소프트웨어 측면의 지원도 추진할 계획임을 언급했다.

이를 위해 우선, 정부와 공공기관, 기업이 역량을 모으는 원팀코리아를 조속히 가동할 계획이다. 원팀 코리아를 통해 교통 인프라, 원전 및 에너지, 스마트시티, 산업단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참여를 타진하고 폴란드 및 터키 등 다른 나라들과의 협업도 강화할 예정이다.

둘째, 현지의 정보나 네트워크 등 기업이 원하는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재건사업 진출의 HUB인 폴란드와의 협력을 위해 7월 13일 국토부와 폴란드 우크라이나 개발협력 전권대표와 MOU를 체결했고, 폴란드 내 우크라이나 재건협력 플랫폼을 신설하여 인프라 관련 전문인력이 상주하며 기업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국토부와 우크라이나 인프라부 간의 정례 화상회의를 통해 기업이 원하는 정확한 정보를 입수하고 양 국 정부 간의 신뢰관계를 형성해나갈 예정이다.

셋째, 재건을 위한 파일럿 프로젝트를 조속히 추진할 계획이다.

우크라이나의 수도인 키이우와, 우만 등 주요 도시에 우리 기술과 역량을 바탕으로 스마트시티 마스터플랜 수립을 지원할 계획이다.

넷째, 우크라이나 국민의 생존과 직결되는 병원이나 모듈러 주택 건설 등 인도적 지원을 위한 프로젝트도 조속히 추진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우리나라의 재건 노하우를 전수하고, 한국에 대한 끈끈한 신뢰를 심어주기 위해 우크라이나의 인재 양성도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건설, 에너지, 수자원, IT, 철도차량, 건설기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재건사업 참여를 준비하고 있는 기업인들이 현재 우크라이나의 여건 및 기업별 진출 전략 등을 발표했다.

이와 함께, 현지 정보수집과 네트워킹이 중요하다는 점과 우리 기업의 사업 기회 확대를 위한 금융 및 재정지원의 필요성 등 기업의 건의사항을 바탕으로. 기업 지원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한국기업 ? 우크라이나 및 제3국 기업 간 MOU 체결식

간담회 이후, 별도의 업무협약(MOU) 체결식에서 원희룡 장관의 임석 하에 우크라이나 재건 협력을 위해 우리 기업과 우크라이나 및 제3국 기업 총 4건의 업무협약이 체결됐다.

우선, 현대건설은 우크라이나 보리스필 국제공항공사와 공항 재건사업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또한, 삼성물산은 우크라이나 최서단에 위치 리비우市 및 터키 Onur社와 리비우시 스마트시티 개발 협력에 관한 MOU를 체결했다.

이러한 기업 간 활동들을 뒷받침하기 위해, 한국 해외건설협회와 폴란드 및 우크라이나 건설협회 간 협력관계를 구축했다.

또한 원희룡 장관은 우크라이나 리비우市 시장 및 보리스필 공항공사사장, 그리고 터키 Onur사 회장과 면담하여 스마트시티 및 공항 재건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과 함께 한국 정부 및 기업들과의 협력관계 구축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한강의 기적을 이룬 우리의 경험을 우크라이나에 공유하여 우크라이나가 새로운 미래로 나아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보도자료출처: 국토교통부]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