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대학, 청년의 든든한 진로·취업 버팀목으로 코로나 세대의 취업문제 해결을 위해 집중 노력

동아일보.한국고용정보원과 공동으로, '청년드림 베스트 프랙티스(Best Practice)' 12개 대학 우수사례 선정.발표

고용노동부와 동아일보, 한국고용정보원은 「2020년 청년드림 베스트 프랙티스(Best Practice)」를 선정·발표했다.

진로지도, 취업지원, 창업지원 3개 분야에 총 97개 사례가 접수되었고, 분야별 전문가의 심사를 거쳐 부천대 등 12개 대학이 수상의 영예를 안게 됐다.

청년드림 베스트 프랙티스(Best Practice)는 2015년부터 청년들의 진로설계와 취.창업을 지원하기 위해 각 대학에서 추진하고 있는 우수사례를 발굴하여 널리 알리기 위해 선정하여 오고 있다.

그간 베스트 프랙티스(Best Practice) 선정식 및 세미나 등 다양한 행사를 통해 우수사례를 공유·확산하였으나, 올해는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하여 선정대학의 사례를 발표하는 것으로 추진됐다.

분야별 수상 사례를 보면, 체계적인 진로·취업 기반시설 구축을 위한 각 대학의 노력과 비대면 서비스 제공을 위해 적극적으로 대응한 사례가 발굴된 점이 눈에 띈다.

「진로지도 분야」는 단계별 진로.취업 교육과정 개설 및 교수용 교재개발 등 ‘진로·취업 정규교과 지원 기반시설 구축(부천대)’, 조기 진로 설정을 위한 ‘실무형 직무중심 진로리더 양성 사업(호남대)’ 운영 등의 다양한 사례가 선정됐다.

「취업지원 분야」에는 ‘비대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실시간 라이브 시스템 도입 및 진로·취업 체험실(인공지능, 가상현실, 가상면접) 구축(경기대)’, 재학생 및 북한이탈 청년 등을 대상으로 ‘지역청년 취업지원 라이브 커머스 프로그램(세종대)’을 운영하는 등 다각적으로 취업지원을 한 사례가 선정됐다.

「창업지원 분야」에는 고부가가치 창업 소재인 ‘인디게임 개발을 위한 경진대회 및 게임 플랫폼 구축(인하대)’, 지역 먹거리를 활용한 교육실습, 외식분야 비결 전수 등 ‘외식 1인 창업 전문가 과정(우석대)’을 운영한 사례 등이 발굴됐다.

장근섭 청년고용정책관은 “올해는 코로나19로 청년들이 취업 준비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인 만큼, 대학에서 다양한 진로 및 취·창업지원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여 청년들의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주길 기대한다.”라며 “많은 대학들이 오늘 선정된 대학들의 사례와 비결을 참고하여 청년들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펼쳐주기를 바란다.”라고 밝혔다.

[보도자료출처: 고용노동부]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