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은 5~11월 매주 토요일 오후 1시부터 5시까지 국립무형유산원 중정과 전승마루에서 대국민 문화향수권 신장을 위한 '주말 체험교육'을 진행한다.
? 세부 프로그램으로는 ▲야외 민속놀이 중심의 '무형유산 풍류', ▲전통 공예를 직접 체험하는 '무형유산 손공방', ▲가족단위로 진행되는 '생활 속 무형유산'으로 주말을 이용해 많은 사람들이 무형유산을 쉽고 재밌게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 '무형유산 풍류'는 매주 토요일 오후 1시에서 3시 30분까지 중정에서 누구나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고, 전래놀이(투호, 윷놀이, 제기차기, 딱치치기, 버나놀이, 활쏘기 등)와 만들기(바람개비, 부채, 제기, 연, 팽이 등) 및 외국 민속놀이를 체험할 수 있다. 따뜻한 햇살 아래 즐거운 민속놀이를 통해 잃어버린 일상의 웃음을 되찾아 보자. 야외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우천, 폭염, 미세먼지 등 날씨에 따라 현장 운영이 취소될 수 있다.
? '무형유산 손공방'은 매듭, 채상(대나무), 소목(목가구), 사기, 각자(목각)장의 전통공예에 직접 참가하여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과정으로 5~11월, 2주차 토요일 오후 2시부터 5시까지 전승마루에서 진행한다. 서툰 솜씨라도 차근차근 공예품을 만들다 보면 일상의 복잡한 생각을 떨쳐낼 수 있다. 작업에 집중할 수 있는 체험 환경 조성을 위해 성인 10명 내외를 정원으로 사전에 선착순으로 접수 받고, 재료비는 별도 참가자 부담이다.
? '생활 속 무형유산 이야기'는 옛 농경, 장식, 세시놀이 등을 체험할 수 있는 과정으로 5~6월과 9~10월, 매주 마지막 토요일 오후 2시부터 5시까지 운영한다. 임실필봉농악, 매듭장, 강령탈춤, 금박장, 북청사자놀음의 5가지 국가무형문화재 종목을 함께 즐기다 보면 우리 가족만의 소중한 추억이 쌓인다. 가족단위로 사전에 접수를 받는다.
? 주말 체험교육은 모두 참가비 무료로 '무형유산 풍류'는 별도 예약 없이 현장에서 참여할 수 있다. '무형유산 손공방'과 '생활 속 무형유산 이야기'는 월별 내용을 국립무형유산원 누리소통망(SNS, 인스타그램)을 통해 공지하고, 사전 유선 예약으로 운영한다.
[보도자료출처: 문화재청 ]